Review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0 November 2023. 553-571
https://doi.org/10.7745/KJSSF.2023.56.4.553

ABSTRACT


MAIN

  • Introduction

  • Organic Farming in North Korea

  • Microbial and Organic Fertilizers in North Korean Organic Farming

  •   미생물비료

  •   아미노산 미량원소 복합비료

  •   흙보산비료

  •   북한의 최근 유기농업 연구개발 동향

  • Crop Disease and Insect Pest Surveillance and Disaster Prevention Program

  • Conclusions

Introduction

유기농업은 기존 농업 관행에 대한 지속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대안으로 전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Willer and Yussefi, 2006). 역사적으로 북한의 농업은 화학물질 (비료, 농약) 사용과 중앙집중식 계획에 크게 의존하는 재래식 농업 기술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북한은 주기적인 기근과 자연재해 등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면서 식량 생산과 증산을 위해 보다 탄력적이고 지속 가능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북한은 식량 안보와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해 농업 관행을 점차 유기농법으로 전환하였다 (IFAD, 2009). 고립되고 정치적으로 폐쇄된 북한은 최근 몇 년 동안 유기농업 분야에서 독특한 사례 연구로 부상하고 있다 (Jeong, 2013; Yoon, 2020).

북한에서 유기농업을 채택한 데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여지는데, Jeong (2013)은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장기화된 경제봉쇄 속에서 식량 안보를 위한 농업 생산량 증대를 위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북한 정부는 수입 의존도, 외부 자원에 대한 제한된 접근성, 기후 변화 등으로 기존의 농업 방식에서 벗어나 외부 의존도를 줄이는 대체농업으로의 유기농업 방법이 모색되었을 것이다. 환경 지속 가능성에 대한 전 세계적인 인식이 높아지면서 북한의 농업 방식도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해석된다 (MCC, 2009). 따라서 북한 정부는 농산물 생산 증대와 농업 환경 개선 등을 목표로 유기농업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주목할 만한 점은 미생물 및 유기질 비료의 역할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유기질비료의 활용은 지속 가능한 농업 관행을 달성하고 토양 건강 및 생물 다양성 증진과 작물 수확량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 다뤄지는 대부분의 자료가 신문 등에 기술된 짧은 보도자료 및 몇 개의 짧은 단보논문 자료에 기반하기 때문에 북한의 유기농업으로 인한 경작지 내의 정확한 토양분석 자료 및 미생물 구성에 대한 과학적인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나, 북한 내에서 근 25여 년간의 유기농업의 전체적인 역사를 살펴볼 것이다. 본 리뷰 논문에서는 북한 내의 유기농업 기술의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1) 북한 농업정책 내에서 유기농업의 도입, (2) 고리형순환생산체계로의 전환 과정, 그리고 (3) 미생물 및 유기질 비료의 활용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Organic Farming in North Korea

북한의 유기농업은 1990년대 후반 화학비료와 농자재 부족으로 인한 식량 생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감자와 축산을 결합한 순환식 생산체계를 도입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Jeong, 2013). 이 유기농업 방식은 농장 내에 돼지 축사를 설치하여 감자 가공에서 나오는 부산물을 돼지 사육에 활용하고, 돼지 사육에서 발생한 액체로 된 물거름 (액체로 된 거름)을 다시 감자 농사에 활용하는 순환적 생산방식으로 감자 증산 정책과 함께 새로운 형태의 축산업이 육성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Kim, 2000; Seo et al., 2005). 이러한 감자-축산 순환 생산체계를 축산-양어를 결합한 생산체계에도 적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2000년 5월 김정일이 메기 양어장에 방문하여 “풀과 고기를 바꿀 뿐 아니라 강냉이와 물고기를 바꾸어야 합니다.”라며 곡물 사료를 양어에 사용하는 방안을 강조했다고 한다 (Kim, 2005b). 그러나 보도자료에 의하면 이후 북한의 식량부족이 지속되면서 곡물사료의 사용이 어려워지고, 대체사료로 개발된 미생물 번식에 가축 분뇨가 필요했기 때문에 양어와 축산이 자연스럽게 연계된 것으로 보인다 (Minju Choson, 2005; Rodong Sinmun, 2005). 그 이유를 살펴보면, 2005년 7월 26일 로동신문에서 북한이 메기 양식을 장려하고자 메기양어장이 있는 지역의 농 ‧ 목장에서 나오는 단백질 부산물들을 메기양어장으로 보내자는 내용을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05). 또한 2005년 12월 16일 민주조선 신문에서 황해남도 청단군 갈산협동농장의 양어장 사례를 소개하며, 양어장 주변에 축사를 지어 가축의 배설물을 활용하여 물고기의 먹이 문제를 해결하였다고 보도하였다 (Minju Choson, 2005).

2006년 로동신문의 기사에 따르면, 8월에 황해북도 은정축산전문협동농장 6헥타르 면적에 민물고기를 기를 수 있는 35개의 못양식 시설을 갖춘 은정양어장을 준공하였다고 보도하였다. 이 양어장은 축산에서 나오는 거름을 이용하여 지렁이를 키우고, 비료를 생산한 후에 지렁이를 메기의 먹이로 활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큰단백풀이라는 높은 단백질 함유량을 가진 풀을 재배하여 양어와 축산의 먹이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Rodong Sinmun, 2006). 이러한 메기양어장과 민물고기양어장은 축산과 양어를 결합한 순환모델이라 할 수 있다.

북한의 농업구조는 이러한 과정들을 거치면서 감자-축산-양어를 결합한 순환생산구조로 변화하게 된 것으로 추정되며, 식량생산 관련 업종인 농업-축산업-수산업-임업 등의 여러 산업이 결합하면서 “고리형순환생산체계”로 발전된 것으로 보인다 (Fig. 1). 고리형순환생산체계는 생산과 소비 사이에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농업의 특성을 이용하여 생산이나 생활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폐설물 및 부산물을 지속적으로 재활용하여 생산에 이용하는 체계를 의미한다 (Hong, 2012). 이를 통해 농업-축산업-수산업의 생산량 증가, 자원 절약, 경제적 이익 추구, 자체 에너지 생산과 환경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Hong, 2012; Lee, 2012). 이 고리형순환생산체계를 세우기 위해 당시 북한의 지도자였던 김정일은 돼지를 기르고, 돼지의 분뇨를 물거름으로 생산해 곡류의 생산성을 늘리며, 이를 통해 축산과 농산업의 연결고리를 형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한다 (Hong, 2012). 기록에 의하면, 이후 북한의 지도자인 김정은도 농업과 축산의 고리형순환생산체계의 강화 및 활성화에 관해 여러 차례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Kim, 2014). 로동신문의 기사 내용을 살펴보면, 2000년대 초에 북한에서 시행된 고리형순환생산체계가 지역별 특성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으며 (Fig. 2), 농축수산물 생산량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는 내용을 계속해서 다루고 있다 (Table 1). 이를 통해 순환생산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sssf/2023-056-04/N0230560424/images/ksssf_2023_564_553_F1.jpg
Fig. 1.

North Korea’s organic farming model the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sssf/2023-056-04/N0230560424/images/ksssf_2023_564_553_F2.jpg
Fig. 2.

Regional adoption of the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in North Korea. This information is sourced from Table 1, with the numbers in the Fig. corresponding to references in Table 1. Icons made by Ehtisham Abid, Freepik, Icongeek26, imaginationlol, monkik, PLANBSTUDIO, and Icons_Field from www.flaticon.com.

Table 1.

Examples of applying the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s.

References Contents
Rodong Sinmun1
2010a/12/19
In the cooperative farms of Samcheon County, South Hwanghae Province, the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has been established,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igs and exceeding
meat production plans, resulting in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organic fertilizers.
Rodong Sinmun2
2011a/07/23
At the Daedong River Fruit Integrated Farm, a modern pig farm and an organic fertilizer plant have
been constructed to produce thousands of tons of organic fertilizers annually, enhancing the vitality of
the orchards while establishing the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between fruit cultivation
and animal husbandry.
Rodong Sinmun3
2012a/01/13
At the 3rd operation team of Songdong Cooperative Farm in Hwadae County, North Hamgyong, they
annually produce over 10 tons of pork and around 200 piglets, while also producing high-quality
manure and a significant amount of liquid manure each month.
Rodong Sinmun4
2012b/06/29
At the Unha Cooperative Farm in Unjeon County, North Pyongan Province, they have introduced a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that combines agriculture and animal husbandry. This system
has led to an increase in rice production from fields where pig manure is used. The rice bran byproduct
from the pig manure is used as feed for the pigs, while straw is utilized in pig manure production. The
straw is further processed into a substrate for mushroom cultivation, and the remaining straw waste is
used as pig feed. A certain amount of pig manure is also used for fish farming in the fishery.
Rodong Sinmun5
2012c/07/04
A new organic compound fertilizer plant has been constructed in the Daedong River Fruit Integrated
Farm Zone, and production has commenced. As a result, a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between fruit
cultivation and animal husbandry has been established, opening up prospects for increased production
of both fruits and meat.
Rodong Sinmun
2012d/10/17
At the Namheung Youth Chemical Joint Enterprise, a modern and highly concentrated animal
husbandry base has been established, currently housing tens of thousands of fattening pigs and ducks,
with the numbers of turkeys, chickens, and rabbits continually increasing.
Rodong Sinmun6
2013a/04/24
At the 8th operation team of Daesan Cooperative Farm in Yeonsan County, North Hwanghae Province,
they have constructed a greenhouse-style pigsty to ensure the right temperature for producing a
substantial amount of meat year-round. This has resulted in a doubling of high-quality manure
production, which is then used to increase potato production regardless of the season.
Rodong Sinmun7
2014a/01/11
At the Ryanggang Joint Enterprise, in their comprehensive subsidiary base, they have embraced a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leading to the normalization of meat and poultry production.
Rodong Sinmun8
2014b/08/27
At the Potato Cultivation Farm in Baekam County, Ryanggang Province, they have established a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between agriculture and animal husbandry to promote water
runoff production. They have also addressed feed-related issues by utilizing non-grain fe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igs.
Rodong Sinmun
2014c/10/20
At the Bisan Cooperative Farm in Anbyeon County, Gangwon Province, there has been a regular
supply of meat to farm members every month, and numerous cooperative farms are producing a
substantial quantity of eggs and fish.
Rodong Sinmun
2015a/01/16
They have established a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within a solar-powered ecological
greenhouse, conducting animal husbandry while producing methane gas from their excrement. The
residual liquid and ‘residues’ are used as fertilizers for growing crops like vegetables. The excrement
from domestic animals and the waste from the sanitation room are directed to a methane gas tank,
where they ferment, generating heat. The methane gas produced during this process serves as
supplementary fuel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 the greenhouse. The methane fermentation residue
and ‘residues’ are used as organic fertilizers for the cultivated crops and as additives to the domestic
animals’ feed.
Rodong Sinmun9
2015b/05/07
At Daechung Farm in Pyeongwon County, South Pyongan Province, they have established a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that combines agriculture and animal husbandry. They have also
adopted advanced livestock farming methods, resulting in a steady increase in meat production year
after year.
Rodong Sinmun10
2015c/05/11
At the cattle ranch belonging to the 580th Division of the Army in Anbyeon County, Gangwon
Province, they have established a circular closed-loop system between animal husbandry and
agriculture. By implementing natural grazing practices, they have successfully resolved feed-related
issues and increased agricultural production.
Rodong Sinmun11
2015d/07/05
At the Namsae Greenhouse of Jangcheon Namsei Special Cooperative Farm in Pyongyang, they have
implemented a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encompassing Namsae (mulberry), animal
husbandry, and aquaculture. They have also introduced a methane gas production system, harnessed
natural pollination by bees, and utilized beehive-style heat retention effects. They employ scientific
technology and computers to regulate temperature and humidity, crucial for Namsae cultivation, with
comprehensive environmental monitoring equipment in the greenhouse.
Rodong Sinmun12
2015e/08/05
The 3rd operation team of Yongjeong Cooperative Farm in Munchon City, Gangwon Province, has
embraced a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yielding results in both animal husbandry and
agriculture. They raise various domestic animals, including pigs, cattle, goats, sheep, chickens, ducks,
and geese, producing hundreds of tons of manure annually, which in turn boosts grain production.
Rodong Sinmun13
2016a/01/16
At the Samhwa Vegetable Special Cooperative Farm in Pyeongseong City, South Pyongan Province,
they have introduced a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They constructed pigsties using the
greenhouse rear wall, solving the issue of ensuring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greenhouse.
From October to March of the following year, they use materials like straw, sawdust, and rice bran in
the pigsties to produce manure, and from April to September, they produce liquid manure. This circular
production system is effective for temperature control in both the greenhouse and pigsties, resulting in
the annual production of several tons of meat from a single pigsty.
Rodong Sinmun14
2016b/09/28
The Cheonsam Cooperative Farm in Anbyeon County, Gangwon Province, raises over 800 livestock,
improving the livelihoods of farm members and producing thousands of tons of high-quality organic
fertilizers. They have adopted organic farming methods through a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between agriculture and animal husbandry, reducing the use of chemical fertilizers. During the
summer days, ducks are placed in the fields to graze, and at night, their excrement is collected to
produce mixed feed. As a result, the farm averages more than 150 grains per rice spike, and they are
able to produce over 10 tons of grain per hectare.
Rodong Sinmun15
2017a/01/09
At the Hojung Cooperative Farm in Jeongpyeong County, South Hamgyeong Province, they have
established a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and actively introduced appropriate animal
husbandry methods tailored to their circumstances, resulting in increased livestock production over the
past few years.
Rodong Sinmun16
2017b/11/17
Workers and employees at Guseong Chicken Farm in North Pyongan Province have diligently
established a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between animal husbandry and agriculture.
This has resulted in an increase in livestock production and grain harvest simultaneously.
Rodong Sinmun17
2019a/06/22
Workers and laborers in Bukcheong County, South Hamgyeong Province, create an average of
450 hectares of orchards every year, with a recent cumulative total of over 3,800 hectares of orchards
established in the past few years. They have also constructed animal husbandry bases on fruit farms,
achieving significant results in establishing a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between fruit
cultivation and animal husbandry.
Rodong Sinmun18
2020a/02/19
At the Ryongsan Cooperative Farm in Anak County, South Hwanghae Province, they have established
a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between agriculture and animal husbandry. By focusing on
animal husbandry, they have produced a significant amount of manure, which has boosted grain
production. In the 6th operation team, they raised various domestic animals including pigs, chickens,
ducks, and geese, producing meat, eggs, and high-quality manure last year. As a result, their
productivity has increased, allowing them to produce 2-3 tons more grains per hectare.
Rodong Sinmun19
2021/12/22
At Deokseong Apple Farm in South Hamgyeong Province, they have established a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between orchards and animal husbandry. By adopting a natural flow irrigation
system, they have achieved success in fruit production. At the Oncheon Fruit Farm, they transported
thousands of tons of genuine manure and salt marsh moss to improve the vitality of orchards, resulting
in a bountiful harvest.
Ryugyong
2022/03/24
At 1st Information Greenhouse in Yeontan County, North Hwanghae Province, they have established a
circula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and focused on ensuring sufficient temperature for crop growth.
They have improved the yield per unit area by planting leafy vegetables and root vegetables among
fruit vegetables.

The superscript numbers in the References section correspond to the numbers in Fig. 2 and indicate the information used.

결론적으로 북한의 농업 구조는 감자 재배, 축산업, 양식업을 통합하는 순환 생산 시스템을 채택하여 상당한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보인다. 이 모델은 감자뿐만 아니라 옥수수와 같은 다른 작물과 연계하여 지속 가능한 농업, 식량 안보, 농업 문제 해결을 위한 가용 자원의 효율적 활용에 대한 북한의 노력을 잘 보여준다.

Microbial and Organic Fertilizers in North Korean Organic Farming

지속 가능한 생산량 증가에 있어 미생물 및 유기질 비료는 북한 유기농업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은 ‘고난의 행군’ 시기 대두된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3년 5월 21일 김정일은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와의 담화에서 이전 농촌에서 화학비료에 의존적인 농사에 대해 “화학비료를 많이 사용하면 부침땅이 산성화되고 생태환경이 파괴된다”고 언급했다고 한다 (Kim, 2005a). 또한 “우리는 화학비료를 적게 쓰고 미생물비료와 유기질비료를 가지고 농사를 짓는 대로 방향전환을 하여야 합니다”라며 유기농업으로의 전환 필요성 및 유기질비료의 생산 정책을 장려했던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농지 1헥타르 당 20톤의 유기질비료 공급을 목표로 하여, 농업뿐만 아니라 공업 및 생활 부산물을 활용한 유기질비료 생산 방법을 제시하여 유기질비료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Rodong Sinmun, 2004; Kim and Lim, 2014). 이러한 내용을 통해 추정해 보면 북한은 화학비료를 지양하는 대신 다양한 유기질비료 생산을 장려해왔고, 그 중 특히 미생물비료, 아미노산미량원소복합비료, 흙보산비료의 생산과 이용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생물비료

1998년 민주조선 기사 내용에 의하면 유용미생물비료가 화학 비료와 비슷한 역할을 하고, 또한 곡류 (알곡작물)의 성장과 성숙을 촉진시키며, 유용미생물의 생체 활성 물질에 의해 살충제 역할까지 한다고 소개하였다 (Minju Choson, 1998). 특히 이 기사에서는 유용미생물비료에 대해 ‘생산 비용이 적고 세계 여러 나라에서 주목하고 있다’고 보도하였다 (Minju Choson, 1998). 또한 미생물비료를 “공업적인 방법으로 배양하여 얻은 농사에 이로운 미생물들과 그것들이 분비한 성장촉진물질, 생리적활성물질들이 들어있는 비료”로 정의하였고, 이 비료를 토양 미생물의 특성을 활용하여 만들어 사용한다고 보도하였다 (Minju Choson, 1998).

미생물비료를 활용한 북한의 유기농업 사례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10년 로동신문자료에 다뤄진 내용을 보면 평안남도 문덕군 룡중협동농장에서 유기농법으로 여러 해 동안 복합미생물비료를 이용하여 농사를 지은 결과 곡물 생산량의 증산이 이루어졌다고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0b). 이 보도 자료에서는 농장 작업반 사람들에게 복합미생물비료 사용에 필요한 기술 교육과 시범사업을 수행하여 “튼튼한 벼 모를 키우는데 큰 공을 세웠다”고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0b).

2011년 로동신문 보도자료에서는 황해남도 안악군 애국복합미생물비료공장에서 선택된 티오균비료를 생산하여 여러 협동농장에서 사용한 결과, 작물의 뿌리 활성이 좋아져 튼튼하게 자랐다고 보도하였다. 이 티오균비료에 의해 논의 녹조 (북한 말로 “푸른 이끼”)와 뿌리썩음병이 예방되었으며 농작물의 생육조건이 향상되었다고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1b). 또 다른 보고에서는 곡류가 아닌 공업용 광석 폐기물을 기질로 활용한 티오균비료를 북한의 국가과학원 미생물학연구소 농업미생물연구집단에서 개발하였다고 보고하였다 (Rodong Sinmun, 2012e). 이 생물 비료가 토양 내의 미량원소들을 가용성으로 변화시키고 농작물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하여 다양한 작물의 종자 처리와 밑비료 (씨를 뿌리거나 모내기 전에 주는 비료)로 사용하면 증수 효과가 있다고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2e).

이에 앞선 2000년대 초반 북한의 허장춘 박사는 유황산화세균 (Thiobacillus thiooxidens)이 주성분인 린세균비료를 개발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비료는 토양속의 유황을 산화시켜 황산을 만들어 토양속의 인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전환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Rodong Sinmun, 2011c). 그리고 제조 방법은 황산을 이용하여 물의 pH를 조절한 후, 유황 분말과 종균을 각각 1%씩 투입하고 28 - 32°C에서 7 - 10일간 배양한다고 보고하였다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2011). 이 린세균비료는 평안북도 박천군 률곡협동농장에 적용되어, 뿌리썩음병 예방과 열매의 결실 및 수확량이 증가되었다고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1c).

2012년 로동신문에서는 북한의 국가과학원 미생물학연구소 환경미생물연구집단에서 개발한 미생물비료는 작물 뿌리 활성화, 옥수수의 광합성 촉진, 토양의 난용성 인 가용화, 질소 비료 효율 증가 및 논벼 뿌리썩음병 예방 효과에 대하여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2f). 이 미생물 비료를 거름이나 혹은 유기질비료와 함께 시비할 때 더욱 뚜렷한 효과가 있다고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2f).

이러한 자료에 기반해 볼 때 북한 내의 미생물비료에는 토양속의 영양원소들을 농작물이 잘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합성하거나 분해시키는 작용과 함께 농작물에 해로운 미생물과 병원균이 자라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2년 로동신문에서는 김일성종합대학 계응상농업대학에서 이전에 사용되던 방선균 비료보다 항균 능력과 유기질 발효 촉진 능력이 뛰어난 새로운 방선균을 선발하여, 이 방선균을 종균으로 쌀겨, 소석회, 부식퇴비를 혼합하여 기존보다 높은 효과의 방선균 비료를 개발했다고 보도하였다. 이 방선균비료는 모든 작물에 적용 가능하며 발효 촉진 효과가 있어 퇴비나 흙보산비료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이 방선균흙보산비료를 사용할 경우 화학비료나 일반 부식퇴비흙보산비료의 사용보다 논벼는 5 - 10%, 옥수수는 6 - 15%, 감자와 고구마는 15 - 20%, 배추와 무는 15 - 30% 정도 수확량이 증가하였다고 한다 (Rodong Sinmun, 2012g).

2013년 4월 28일 로동신문 기사에서는 토지개량형 미생물비료에 대해 소개하였다. 생물활성퇴비는 토양의 구조와 영양조건을 좋게 하고 산성을 중화시키며, 이로운 토양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토지개량형 미생물비료로 이 생물활성퇴비를 활용하여 남포시의 협동농장에서 10년 동안 농사를 지은 결과, 토양의 물리적 성질이 좋아지고 곡류 생산이 증가했다고 전했다 (Rodong Sinmun, 2013b). 이 미생물비료는 벼 재배 시 1헥타르 당 1톤을 사용할 경우 일반 거름 15 - 20톤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며 벼 천알 당 무게가 증가하였다고 보도하였다 (Minju Choson, 2013).

2013년 민주조선의 보도에서는 당시 북한의 지도자였던 김정일이 토지개량을 통해 논밭을 기름진 땅으로 만들어 농업 생산을 증진시켜야 한다고 보도하였다. 이 기사에 의하면 토지 개량을 위해 황해북도 은파군에서 새로운 미생물 선발 및 기능 분석을 통해 토양 분석을 실행하고, 개량 기술지도 및 미생물 혼합비율과 뿌리는 시기 등을 알려주는 사업 진행이 있었다고 보도하였다 (Minju Choson, 2013). 이 내용에 기반해보면 화학비료 대신 미생물비료를 활용한 토지개량을 통해 농업생산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북한의 미생물비료 생산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면, 2016년 로동신문에서 황해북도의 농촌에서 미생물비료/미량원소비료 생산, 강원도 천내군에서 인 비료 대신 뿌리썩음병 예방 효과가 있는 티오균비료와 고농도 인세균비료를 증산한 내용이 보도되었다 (Rodong Sinmun, 2016c). 2017년 로동신문에서는 개성 애국복합미생물비료공장에서 린세균비료 생산에 필요한 종균, 시약, 원료 및 양수기/발전기 등의 설비를 통해 연간 린세균비료 생산 계획 100%를 조기 달성했다고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7c).

2014년 12월 23일 로동신문에서는 김정은이 농업의 증산을 위해 현대 농업 발전 추세에 맞는 혁신적인 영농방법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4d). 이 혁신적인 영농 방법은 아마도 친환경적인 미생물비료의 활용으로 추정되며, 지속적으로 강조하는 미생물을 활용한 유기물질 발효를 통한 퇴비 생산으로 추정된다. 이 기사에서 소개한 비료는 방선균비료로 부식토, 쌀겨, 소석회 등을 섞어 만든 방선균퇴비로 설명하였다. 이 퇴비를 처리한 평안남도 순천시 협동농장의 논에서 벼의 생육이 좋아지고, 이삭 당 낟알의 결실이 좋아졌다고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6d).

미생물 비료인 방선균비료는 1톤으로 100톤의 방선균 퇴비 생산이 가능하다고 소개하고 있다. 생산방법으로 900 kg의 부식토에 소석회, 쌀겨를 혼합한 후 100°C에서 2시간 동안 멸균하고, 여기에 5 kg의 종균을 혼합하여 20°C에서 7 - 10일 동안 숙성시키면 1톤의 방선균비료가 만들어진다고 보도하였다. 방선균퇴비는 500 kg의 복데기와 일정한 양의 흙, 소석회, 10 kg의 방선균비료를 혼합하고 비닐로 덮어 30 - 35°C에서 수십일 동안 숙성시켜 만든다고 설명하고 있다. 사용법으로 논에 5톤의 방선균 비료를 20톤의 거름과 함께 처리하여 모내기를 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벼 생육 초기부터 방선균비료 효과로 벼의 뿌리 발육이 빨라져 벼 포기들이 검푸른 색을 띠며 튼튼하게 자랐다고 보도하였으며, 이 비료를 사용한 논은 다른 논보다 수확량이 1헥타르 당 평균 300 kg 이상 많아졌으며, 특히 병해충으로 인한 피해가 없었다고 보도했다 (Rodong Sinmun, 2016d).

2016년 로동신문에서는 황해북도 사리원시 대성남새전문협동농장과 김일성종합대학 계응상농업대학이 연계하여 미생물을 이용하여 풀을 썩히는 방법으로 풋거름 (풀이나 나무 잎으로 하는 거름)을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고 보도하였다. 이 풋거름은 유효미생물의 증식과 항생 작용에 의하여 퇴비 속 균이 억제되고 부식산과 가용성 영양성분 함량이 높아져 퇴비의 질이 좋아졌다고 보도하였는데, 겨울철에 옥수수 짚이나 볏짚 등에 열을 주지 않고 미생물로 유기물질을 발효시켜 퇴비를 만들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라고 소개하였다 (Rodong Sinmun, 2016d).

김일성종합대학 계응상농업대학의 연구원은 발효 퇴비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여 기존의 비료보다 유기질 발효 촉진 능력과 항균 능력이 높은 균을 선발하고, 짚에 섞는 방법으로 남조류 발효 퇴비 생산기술을 개발하여 농촌의 농작물 증산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6e).

2017년 자료에 따르면 복합미생물비료 (EM), 리미액 (로운 생물 체), 복합세균비료, 방선균비료, 콩뿌리혹균비료, 세균비료, 빛합성 (광합성)세균비료, 류황 (유황)세균비료 등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비료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미생물의 발효촉진특성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미생물 발효 퇴비들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eacher Propaganda Notebook, 2017).

아미노산 미량원소 복합비료

2011년 2월 23일자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북한의 국가과학원에서 아미노산미량원소복합비료를 연구 개발하였는데, “조선에 많이 매장되어있는 금강약돌에서 추출한 수십 가지의 미량원소와 희토류원소들에 닭털, 오리털을 비롯한 폐단백에서 얻은 복합아미노산을 화학 결합시켜 만들었다”고 소개하고 있다. 이 비료를 씨앗소독제로 사용할 경우 씨앗의 발아율이 평균 7% 높아지며, 식물 뿌리 발육이 촉진되며 효소 활성 및 엽록소함량이 높아진다고 보도하였다. 평안남도, 황해북도, 평양시를 비롯한 많은 협동농장들에서 작물 재배에 아미노산미량원소복합비료를 사용한 결과 “알곡작물 (곡류)인 경우 이 비료를 주지 않은 논과 밭에 비하여 정보 당 110 - 120% 이상의 소출을 더 냈으며, 남새 (채소)작물인 경우에도 정보 당 120 - 140% 이상 수확고를 높이였다”고 보도하였다.

2011년 로동신문에서는 함경남도 안변군 비산협동농장에서는 50여 톤의 아미노산미량원소복합비료를 자체생산하여 모판 비료로 주고, 남은 비료를 잎의 덧비료 (액체 잎 비료)로도 이용한 결과, 벼들이 모마름병을 비롯한 다양한 병에 저항성을 보이고 튼튼하게 자라서 병충해에 의한 피해를 예방했다고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1d).

2012년 로동신문 보도자료에서는 이 아미노산미량원소복합비료의 생산을 위해 평양시에 보통강유기질복합비료공장에 아미노산미량원소복합비료 생산기지를 건립하고 생산에 들어갔다고 하였다. 이곳에서 생산된 복합비료의 수요가 높아져 최대한 많은 아미노산미량원소복합비료를 농장에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2h).

2013년 로동신문은 황해남도 해주시 유기질복합비료공장에서 아미노산미량원소복합비료의 생산을 늘리고 질을 높이기 위해 원료의 투입, 분해, 중화 등 모든 생산공정에 필요한 기술을 개선하였다고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3c). 2017년 로동신문은 강원도 안변군에서 아미노산미량원소복합비료의 최고 생산량을 갱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 비료에는 붕소, 몰리브덴, 망간 등의 미량 원소들이 충분히 들어있어 농작물의 생육기간 동안 잘 자라게 하고 병해충에 대한 내성을 증진시켜 주었다고 전했다. 또한 농작물의 뿌리 발육과 영양분 흡수 증진 및 이삭의 여문율과 천립중이 늘어났다고 소개하였다 (Rodong Sinmun, 2017d).

흙보산비료

북한의 대표적 유기질비료인 흙보산비료는 ‘흙에 주는 보약과 같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 주로 갈탄이나 이탄에 암모니아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며, 이 비료의 생산과 활용은 1980년대 중반 이후에 크게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Yoon, 2020). 이전에는 화학 비료에 의존하는 농업 체계가 주를 이뤘으나, 경제적 어려움과 화학비료 부족으로 인해 유기질비료인 흙보산비료의 중요성이 부각된 것으로 보인다 (Kim, 2014). 북한에서의 흙보산비료의 중요성을 살펴보면 북한의 각 지역마다 흙보산비료 생산을 위한 원료 수집 및 처리 시설을 마련하고, 생산체계를 구축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관련기사를 꾸준히 다루면서 그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2013년 로동신문에서 대흥지도국 돌격대에서 1헥타르 당 5톤 이상의 흙보산비료를 처리할 목표를 세우고 일주일 동안 흙보산비료생산에 필요한 이탄 300여 톤을 확보했다고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3d).

2013년 로동신문에서는 함경남도 함주군 신덕협동농장에서 흙보산비료 원료를 한해 먼저 준비하고 질 좋은 흙보산비료를 생산하여 농사에 이용했다고 보도하였다. 논밭 1헥타르 당 5톤 이상의 흙보산비료를 생산할 목표로 이탄 2천여 톤과 암모니아수 수십 톤을 미리 준비하였으며, 한 해 일찍 준비해둔 1천여 톤의 이탄을 가지고 앞그루 (한 해에 두 가지 작물을 번갈아 심어 수확하는 이모작 방식에서, 먼저 재배하는 작물) 농사와 모 기르기에 쓸 흙보산비료 생산을 완료했다는 소식을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3e). 이 기사는 북한 농업에서 흙보산비료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반증한다.

2014년 로동신문에 따르면 평안북도 피현군, 구장군, 의주군, 구성시에서 하루 생산량을 초과하는 1만여 톤의 흙보산비료 원료를 확보하고, 수백 헥타르의 토지를 개량했다고 보도하였다. 천삼협동농장을 비롯한 강원도 안변군 근로자이 하루에 600여 톤의 이탄을 캤다고 소개하고 있다 (Rodong Sinmun, 2014e). 또 다른 2014년 로동신문에서도 수복, 화산협동농장에서 수천 톤의 이탄을 캤으며, 이탄 매장량이 풍부한 자양, 풍천협동농장 등에서는 기계 장비를 사용하여 작업해 생산된 이탄을 군 유기질복합비료공장 및 흙보산비료 생산기지로의 운반 내용을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4f).

2015년 로동신문에 따르면, 300여만 톤의 거름을 생산하여 많은 흙보산비료 원료를 확보했다고 보도하였다. 함경북도 회령시에서는 거름 생산계획을 조기에 수행하였고, 경원군과 김책시는 거름생산과 운반, 흙보산비료의 원료 확보를 동시에 진행하여 함경북도에서만 15만여 톤을 준비했다고 보도하였다. 평안북도의 경우, 박천군에서 거름생산과 흙보산비료 원료확보에 큰 성과를 냈으며, 정주시 피현군의 경우 1헥타르 당 5톤 이상의 흙보산비료를 운반했다고 보도하였다. 평안북도에서도 50여만 톤의 거름을 생산하여 논밭으로 보냈으며, 8만여 톤의 흙보산비료 원료가 확보되었다고 보도하였고, 이밖에 강원도, 황해북도, 함경남도에서의 거름생산과 운반, 흙보산비료의 원료 확보에 대한 내용을 함께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5f). 위 내용을 살펴보면 북한에서는 전국적으로 흙보산비료 사용을 위해 원료 확보 및 생산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6년 로동신문에서도 개성시의 7,000여톤의 이탄 확보, 황해남도 옹진, 배천군에서의 흙보산비료 원료 100% 확보 및 봉천군을 비롯한 도안의 여러군에서의 원료 확보에 대한 내용을 보도함으로써 각 지역별 원료 확보에 대한 상황을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Rodong Sinmun, 2016f). 이와 더불어 흙보산비료의 효과를 높이는 원료인 금강약돌, 고회석, 초목회, 닭 배설물 확보 사업 추진 역시 함께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6g). 2019년 로동신문에서도 흙보산비료의 원료인 부식토와 이탄 확보가 평안남도 시, 군협동농장에서 이루어졌으며 이와 함께 낟알짚을 이용한 발효퇴비 생산을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Rodong Sinmun, 2019b).

흙보산비료의 원료 확보와 더불어 2000년대 이후 북한은 흙보산비료의 생산량 증대 및 이용방법에 대한 기술 개발을 강화하여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관련 보도자료를 살펴보면, 함경남도 북청군 룡전과수농장에서 수백 헥타르의 과수원에 질 좋은 유기질 거름과 흙보산비료를 사용하여 땅의 지력을 높이고 과일나무 비배관리를 과학기술적으로 실시하는 내용을 전하였다 (Rodong Sinmun, 2011e).

흙보산비료의 중요성에 대해서 여러 보도자료 및 문헌자료에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농업성에 종합된 자료에 의하면 2012년 이전해 같은 시기에 비해 2012년 전국적으로 거름생산은 1.1배, 흙보산비료 생산은 1.4배, 유기질복합비료생산은 1.3배로 높아졌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함께 함경북도의 흙보산비료 생산은 이미 마무리되었으며, 평안북도에서도 지난해에 비해 3.5배 높은 흙보산비료 생산에 관해 전하고 있다 (Rodong Sinmun, 2012i).

2013년 자료에 의하면 전국적으로 120여만 톤의 거름이 포전에 실려 나갔으며, 약 50만 톤의 흙보산비료가 생산되었다고 보도하였다. 또한, 평양시와 황해남도, 평안북도와 평안남도의 농업근로자들이 흙보산비료 생산과 거름운반에서 새로운 기록에 세웠다고 전하였다 (Rodong Sinmun, 2013f). 같은 해 사용된 화학비료의 양이 약 70여만 톤인 것을 감안하면 꽤 많은 양의 거름과 흙보산비료가 생산된 것을 알 수 있다 (Kim, 2017). 2021년 우리나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경지면적은 191만 헥타르에 재배면적은 186만 헥타르이며, 주요 작물의 재배면적은 벼 55만, 옥수수 74만, 감자와 고구마가 34만 헥타르로 집계됐다 (Statistics Korea, 2021). 북한은 1헥타르 당 5톤의 거름 또는 흙보산비료를 처리하므로 (Rodong Sinmun, 2013d), 2013년 총 생산량 170여만 톤은 약 34만 헥타르의 작물 재배 면적에 처리할 수 있는 양이다.

황해남도의 생산 기술지도를 통해 계획보다 1.5배의 질 좋은 원료를 확보하여 흙보산비료 생산을 늘렸다고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4g). 2014년 로동신문에서도 흙보산비료의 목표와 생산을 다루고 있으며 (Rodong Sinmun, 2014h), 2016년 로동신문에서는 단일 시간 내에 달성한 목표량에 대해서 보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황해남도 재령군 삼지강 양계협동농장과 안악군, 은률군 농장에서 2016년 2월 23일 하루 동안 거름 운반 계획의 115%, 흙보산비료 생산량 120%를 달성했다고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6h). 북한 내 흙보산비료의 원료 생산과 목표 생산량에 대한 자세한 상황을 보도한 기사내용으로 추정해보면 흙보산비료의 목표 생산량을 증산하도록 지속적으로 장려한 것으로 보인다.

2019년 로동신문에서는 지난 보도기사와 다르게 원료 확보 및 비료의 목표 생산량 보다는 농업적 활용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평안남도 증산군의 협동농장들에서 거름생산과 적용에 따른 농업 생산량의 증가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질 좋은 발효퇴비 생산 및 흙보산비료의 원료 확보 노력에 대해서 보도하고 있다. 또한, 자강도 초산군의 경우 흙보산비료가 빗물에 씻겨 내려가지 않도록 진흙과 섞어 덩어리로 만든 다음 묻어주는 방식에 대해서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19b).

앞선 보도자료를 정리해보면 11 - 1월에는 흙보산비료 원료인 이탄과 암모니아수 모으기, 2 - 3월 흙보산비료 생산량에 대한 기사가 보도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렇게 생산된 흙보산비료는 다시 모내기가 시작되기 전에 논밭에 뿌려주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 2의 내용을 보면, 지역별 특성과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흙보산비료의 생산방식이 다르게 발전되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 2.

Diverse methods of Heukboshan (soil compost) fertilizer production.

Type of
production
Production using
sawdust
Production using
pile composting
Production using
non-fuel method
Production using
lignite ash
Production using
plastic pouches
Region Yongheung
Cooperative Farm in
Anju City,
South Pyongan
Yeokgu Cooperative
Farm in
Baechon County,
South Hwanghae
Bisan Cooperative
Farm in
Anbyon County,
South Hamgyeong
Sinri Farm in
Cheongnam District,
South Pyongan
Kumgang Jido
County Assault
Brigade, Kangwon
Raw
materials
Sawdust is u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btaining sufficient
charcoal or corrosive
soil.
Pile composting
methods tailored to
the local shortage of
fuelwood using
biologically active
compost.
Relies on biologically
active compost and
non-fuel methods.
Lignite ash is used
instead of peat or
humus.
Utilizes plastic
pouches for soil
compost fertilizer
production.
Production
process
• Transport the
sawdust to the farm
and allow it to
decompose for two
years, then mix it
evenly with humus.
• To this mixture,
add 20 - 30 kg of
ammonia solution
and 100 - 150 kg of
limestone per ton of
organic matter.
• Spread the organic
matter to a 20 cm
thickness, spray the
ammonia solution,
and make piles
about 1.5 - 2 m
high.
• Cover these piles
with plastic film to
raise the
temperature to
30°C.
• Dig multiple pits
within a biologically
active fertilizer pile
that has been
inoculated with
microorganisms,
and combine
materials like
charcoal and
ammonia solution,
facilitating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both
biologically active
compost and soil
compost fertilizer.
• Stack biologically
active compost
cover it with a straw
bag and pile up with
a mixture of
charcoal, ammonia
solution, and humus
on top of each other.
• The height of the
biologically active
compost pile and
the soil compost
fertilizer raw
material pile is
maintained at 1.7 m
each.
• A layer of
biologically active
compost, 1 m thick,
is added on top to
prevent nitrogen
loss.
• By monito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piles with three
thermometers, the
temperature in the
biologically active
compost pile rises
above 60°C in
approximately
20 days.
• Grind lignite ash
finel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oil compost
fertilizer.
• To maintain the
right temperature,
store the ground
lignite ash during
the winter and start
the soil compost
fertilizer production
when the
temperature rises.
• Mix the finely
ground lignite ash
with a specified
amount of humus
and additives, stack
it, and cover it with
plastic sheets to
ensure it matures
correctly based on
temperature
conditions.
• Cut plastic sheets to
the desired size and
create a pocket by
tying one end.
• Then, fill this plastic
pocket with a mix of
ingredients
weighing
approximately
250 - 300 kg.
• Finally, seal the top
tightly to prevent air
circulation.
Advantages • Fertilizer from
sawdust has
essential nutrients
for crops.
• It needs less space
than gathering grass
or straw.
• It also helps turn
poor soil into fertile
land.
• This method enables
the outdoor
production of a lot
of soil compost
fertilizer during
spring and autumn.
• This approach
allows them to
generate a
significant amount
of soil compost
fertilizer, which
includes
biologically active
compost.
• This method results
in soil compost
fertilizer with over
16% humus content,
which is highly
beneficial for crop
growth.
• Soil compost
fertilizer produced
from lignite ash,
similar to that
produced from peat
or humus, enriches
the soil, promoting
crop growth.
• Furthermore, it
improv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oil, enhances
sunlight absorption,
raising soil
temperature and
fertilizer
effectiveness,
ultimately
increasing crop
yield per unit area.
• This method
simplifies the
production process,
eliminating the need
for firewood while
maintaining the
required
temperature and
humidity.
• Moreover, it allows
the accumulation of
fertilizer
components within
the sealed plastic
pouch, ensuring safe
storage even in
rainy conditions.
• This approach is
practical,
convenient for
transportation and
storage.
References Rodong Sinmun
(2011f, 2014i)
Rodong Sinmun
(2014j)
Rodong Sinmun
(2012j)
Rodong Sinmun
(2013g)
Rodong Sinmun
(2014k)

종합해보면 북한에서 흙보산비료는 화학비료 부족을 보완하고 토양 개량을 위한 수단으로 현재까지도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농업 생산성과 식량 안보를 강화하는 수단으로써 품질과 생산량 증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북한의 최근 유기농업 연구개발 동향

농업연구원 공예작물연구소에서 여러 아미노산과, 풀보산 (흙 속에 섞인 부식질의 한 부분)과 같은 유기산에 필수 다량 및 미량원소들과 희토류 원소 등을 배합한 식물활성비료 “갱생1호”를 개발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Naenara, 2021). 이 비료는 1헥타르 당 곡류는 110%, 야채는 130% 이상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광합성능력과 뿌리의 활성을 높여 농작물의 생육을 촉진하고 가뭄, 고온, 냉해 등에 대한 내성을 높여주는 것이 특징이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1헥타르 당 사용량이 적고 사용방법이 간단한 이 비료는 과일나무, 화초, 잔디재배에서도 효과가 좋다고 하였다. 황해북도 은파군 대청리와 여러 농업생산단위들에서 농작물이 열매가 달리기 시작하는 시기부터 여러 차례 시비하면 수확고를 높일 수 있다고 보도하였다 (Naenara, 2021).

농업 부문과 관련된 여러 과학연구 기관에서 곡류 (알곡) 생산을 늘리는 데 필요한 지효성비료를 개발 ‧ 생산하기 위한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하였다 (DPRK Today, 2022). 지효성비료는 일반 화학비료보다 훨씬 적은 양으로 농작물에 필요한 영양물질을 충분히 보충해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생태환경오염도 방지할 수 있어 비료 개발에 있어 세계적인 발전 방향이라고 소개하였다 (DPRK Today, 2022).

Crop Disease and Insect Pest Surveillance and Disaster Prevention Program

병해충 예찰 및 예방은 지속 가능한 농업 관행의 필수 요소로, 농작물 보호, 환경 보전, 식량 안보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북한은 국제 사회로부터 상대적으로 고립되어 있기 때문에 농작물의 성공적인 재배가 식량 안보 측면에서 중요하다.

2011년 민주조선의 보도에 따르면 김정일은 “비바람과 병해충에 의한 피해를 미리 막기 위한 대책을 철저히 세워야 합니다”라고 언급했으며 (Minju Choson, 2011), 김정은도 2019년에 “병충해를 막자면, 병해충 예찰 사업을 강화하여 병해충이 발생하는 것을 제때 발견하고 대책하여 퍼지지 못하게 하여야 합니다”라고 강조하였다 (Minju Choson, 2017). 이에 따라, 북한에서는 병해충 예찰 및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병해충의 발생 및 유입을 모니터링하고 퇴치하는 조치를 취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면, 중앙 정부에서 병해충 예찰 사업에 대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협동농장경영위원회의 역할과 책임을 강화하여 병해충 예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하였다. 이를 위해, 예찰원들에게 병해충의 특성과 예찰 사업을 과학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기술지도 및 교육을 제공하고, 농장에 병해충 예찰 초소를 설치하여 병해충 예찰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농장에서 식물성농약 및 생물농약을 활용하여 병해충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고, 병해충 예찰을 기반으로 천적곤충과 효과적인 농약 활용 및 논물 관리를 통해 병해충 발생을 예방한다고 보도하였다 (Rodong Sinmun, 2008a, 2008b, 2014l, 2020b, Minju Choson, 2008, 2011, 2014, 2017, 2019a, 2019b).

2019년 로동신문에서 병해충예보자료를 인터넷을 통하여 농업부문 근로자들에게 보급하기 위한 사업을 시작하였다고 소개하고 있다 (Rodong Sinmun, 2019c). 2023년 8월 8일 조선의 오늘 기사에서는 “공화국의 농업과학원 식물보호학연구소에서 고온과 폭염, 태풍에 의한 농작물의 병충해막이대책을 빈틈없이 강구하기 위해 기상수문국과 협동하여 새로 개발한 손전화기 (휴대전화) 병해충예보봉사프로그램을 전국에 도입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한, 연구소에서는 전국의 많은 농장들이 보내오는 병해충 예찰자료들을 종합 분석해 과학적으로 예찰 ‧ 예보의 정확성을 높이고 있다고 전하였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북한에서도 병해충 예찰 및 예방프로그램이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병해충 예방 및 피해방지를 위해 생물학적인 방제제를 활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Conclusions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화학합성농약의 제한적인 사용에 대한 대안으로 유기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유기농업을 통해 기존의 관행농업 만큼의 높은 생산량이 유지될 수 있다면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친환경 농업이 이루어질 것이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자세한 농업 정보를 확보하기 어려운 북한의 농업은 1990년대 후반부터 화학비료 및 기타 농자재 확보의 어려움으로 관행적 농업이 쇠퇴하여 주곡 작물인 쌀, 옥수수, 감자 생산량 부족에 직면해 있어, 생산량 증가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리뷰에서 다루어진 대부분의 자료가 로동신문 등의 보도자료를 기반으로 하고 있고 실제 단위 면적 당 생산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부재하여 유기농업의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경제적 실체를 전혀 알 수 없었다. 또한 유기농업을 통해 토양의 개선/비옥도/미생물 다양성에 대한 정보도 부재하여 토양 비옥도 역시 판단할 수 없어 유기농업 성공여부를 판단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 보도자료 정보에 기반하여 추정해 볼 때, 북한은 관행적 농업의 대안으로 유기농업이 모든 부분에서 적용되어 농업 생산량 증대 및 병해충 방제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최대한의 자원을 재활용하는 고리형순환생산체계 (Fig. 1)를 확립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토양의 비옥도를 높이는데 미생물 및 유기질 비료 기술 개발을 통해 농업생산성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앞서 언급하였듯이 경제성 분석이 과학적 방식으로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성공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화학합성농약을 사용해왔던 관행농업에서 유기농업으로의 전환은 전세계적인 추세이다. 이 리뷰에서 다룬 북한 농업의 경우 폐쇄된 사회적 고립과 제한된 자원으로 인해 자의적으로 유기농업으로 전환된 상황이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농업과 농작물 생산 증가를 이룩하기 위해 북한의 유기농업은 경제성분석/토양분석/미생물분석을 포함한 과학 기술적 분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527804).

References

1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2011. Fertilizers in North Korea (2) Functional materials used in North Korea - bacterial fertilizers. Farming and Horticulture,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Co., Ltd., Anyang, Korea.
2
DPRK Today. 2022. Promoting a project to develop and produce slow-acting fertilizers.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oday (August 22, 2022).
3
Hong, C.H. 2012. Some problems that arise in order to establish a circular production system in the agricultural sector. Econ. Res. 1:23-25.
4
IFAD. 2009.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Uplands food security project (UFSP). Report No. 2026-KP. https://ioe.ifad.org/en/w/democratic-peoples-republic-of-korea-uplands-food-security-project-ufsp-.
5
Jeong, E. 2013. The North Korean organic farming from the perspective of food sovereignty. Rev. North Korean Stud. 16:214-254. 10.17321/rnks.2013.16.1.006
6
Kim, G.S. 2005a. The 'Arduous March' and military-first politics in the 1990s: North Korea's perception and response. Rev. North Korean Stud. 8:9-38.
7
Kim, J.H. 2000. Kim Jong-il's strategy for building a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Pyongyang Publishing Company, Pyongyang, North Korea.
8
Kim, J.I. 2005b. On scientific and intensive fish farming. Kim Jong-il Anthology (Volume 15). The Workers' Party of Korea Publishing House, Pyongyang, North Korea.
9
Kim, J.U. 2014. Let us raise high the banner of the socialist rural thesis and bring about innovation in agricultural production. A Letter Sent to Participants in the National Agricultural Division Workshop Competition.
10
Kim, Y.H. 2017. Quarterly agricultural trends in North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11
Kim, Y.H. and S.K. Lim. 2014. Assessment of the fertilizer aid project for North Korea and plans for efficient Inter-Korean cooperation in the fertilizer area. Research Report R727.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12
Lee, M.J. 2012. Loop-type production system and its socioeconomic significance (Issue 2). Gazette of the Academy of Social Sciences. Social Science Publishing Company, Pyongyang, North Korea.
13
MCC. 2009. MCC promotes sustainable farming in North Korea. News and Press Release. https://reliefweb.int/report/democratic-peoples-republic-korea/mcc-promotes-sustainable-farming-north-korea.
14
Minju Choson. 1998. Interesting useful microbial fertilizers. Minju Choson Editorial Committee (January 6, 1998).
15
Minju Choson. 2005. Fish farming trends at Galsan Cooperative Farm in Cheongdan-gun, South Hwanghae Province. Minju Choson Editorial Committee (December 16, 2005).
16
Minju Choson. 2008. Establishing a pest surveillance project. Minju Choson Editorial Committee (July 10, 2008).
17
Minju Choson. 2011. Establishing an orderly forecasting system_at Daepyeong Farm in Mangyongdae District. Minju Choson Editorial Committee (July 17, 2011).
18
Minju Choson. 2013. Focusing on land improvement using microorganisms. Minju Choson Editorial Committee (May 16, 2013).
19
Minju Choson. 2014. Enhancing the role of forecasters, at Deokwon Cooperative Farm in Ungun-gun. Minju Choson Editorial Committee (July 12, 2014).
20
Minju Choson. 2017. A thorough pest inspection and forecast system_Wonsan City Cooperative Farm Management Committee. Minju Choson Editorial Committee (June 17, 2017).
21
Minju Choson. 2019a. Preparation of surveillance and notification system in an orderly manner_by South Hwanghae Province Forest Restoration Combat Command. Minju Choson Editorial Committee (April 7, 2019).
22
Minju Choson. 2019b. Practical organization of pest prediction and forecasting project_Sariwon City Cooperative Farm Management Committee. Minju Choson Editorial Committee (June 15, 2019).
23
Naenara. 2021. Highly effective plant active fertilizer. Naenara (October 3, 2021).
24
Rodong Sinmun. 2004. Organic fertilizers good for soybean farming. Rodong Sinmun, Inc. (April 20, 2004).
25
Rodong Sinmun. 2005. Let's continue to promote catfish farming. Rodong Sinmun, Inc. (July 26, 2005).
26
Rodong Sinmun. 2006. Solving fish feeding through livestock farming. Rodong Sinmun, Inc. (July 31, 2006).
27
Rodong Sinmun. 2008a. Strengthen pest surveillance projects. Rodong Sinmun, Inc. (July 9, 2008).
28
Rodong Sinmun. 2008b. Practical pest monitoring project. Rodong Sinmun, Inc. (August 28, 2008).
29
Rodong Sinmun. 2010a. The reward of setting up a water fertilizer production base. Rodong Sinmun, Inc. (December 19, 2010).
30
Rodong Sinmun. 2010b. Actively use complex microbial fertilizers. Rodong Sinmun, Inc. (August 7, 2010).
31
Rodong Sinmun. 2011a. A great creation of the Songun era - Daedonggang Fruit Farm and Daedonggang Fruit Processing Factory - the world's leading fruit production base. Rodong Sinmun, Inc. (July 23, 2011).
32
Rodong Sinmun. 2011b. Active production and use of highly effective microbial fertilizers. Rodong Sinmun, Inc. (June 20, 2011).
33
Rodong Sinmun. 2011c. Active production and use of highly effective microbial fertilizers. Rodong Sinmun, Inc. (June 20, 2011).
34
Rodong Sinmun. 2011d. Used for production of amino acid trace element complex fertilizer. Rodong Sinmun, Inc. (May 17, 2011).
35
Rodong Sinmun. 2011e. Apple picking is in full swing in the vast orchard. Rodong Sinmun, Inc. (September 23, 2011).
36
Rodong Sinmun. 2011f. Produce soil fertilizer using sawdust. Rodong Sinmun, Inc. (February 9, 2011).
37
Rodong Sinmun. 2012a. A task to increase grain production this year. Rodong Sinmun, Inc. (January 3, 2012).
38
Rodong Sinmun. 2012b. A ring-shaped production system that produces silver - at Canal Cooperative Farm in Unwon-gun. Rodong Sinmun, Inc. (June 29, 2012).
39
Rodong Sinmun. 2012c. Establishment of a circular production system for fruit trees and livestock farming. Rodong Sinmun, Inc. (July 4, 2012).
40
Rodong Sinmun. 2012d. Intensive livestock farming bases produce silver. Rodong Sinmun, Inc. (October 17, 2012).
41
Rodong Sinmun. 2012e. Well-received microbial fertilizers. Rodong Sinmun, Inc. (June 29, 2012).
42
Rodong Sinmun. 2012f. Well-received microbial fertilizers. Rodong Sinmun. June 29, 2012).
43
Rodong Sinmun. 2012g. Development and introduction of highly effective actinomycete fertilizer. Rodong Sinmun, Inc. (May 5, 2012).
44
Rodong Sinmun. 2012h. At the Potongang Organic Complex Fertilizer Factory. Rodong Sinmun, Inc. (June 24, 2012).
45
Rodong Sinmun. 2012i. Innovation in organic fertilizer production. Rodong Sinmun, Inc. (February 25, 2012).
46
Rodong Sinmun. 2012j. A practical method of producing soil fertilizer. Rodong Sinmun, Inc. (September 20, 2012).
47
Rodong Sinmun. 2013a. Problems encountered in establishing a circular production system - at Daesan Cooperative Farm in Yeonsan-gun. Rodong Sinmun, Inc. (April 24, 2013).
48
Rodong Sinmun. 2013b. Produce and use biologically active compost effectively. Rodong Sinmun, Inc. (April 28, 2013).
49
Rodong Sinmun. 2013c. We produce a lot of high-quality compound fertilizers. Rodong Sinmun, Inc. (May 16, 2013).
50
Rodong Sinmun. 2013d. Secured approximately 300 tons of peat in one week. Rodong Sinmun, Inc. (March 6, 2013).
51
Rodong Sinmun. 2013e. At the forefront of mudbosan fertilizer production. Rodong Sinmun, Inc. (March 14, 2013).
52
Rodong Sinmun. 2013f. Expansion of agricultural expenses. Rodong Sinmun, Inc. (March 17, 2013).
53
Rodong Sinmun. 2013g. Producing soil fertilizer using lignite. Rodong Sinmun, Inc. (May 23, 2013).
54
Rodong Sinmun. 2014a. A comprehensive sideline base that produces silver. Rodong Sinmun, Inc. (January 11, 2014).
55
Rodong Sinmun. 2014b. Scientific farming is booming in the Baekdu region. Rodong Sinmun, Inc. (August 27, 2014).
56
Rodong Sinmun. 2014c. Increasing the role of the military is an important demand for improving people's lives. Rodong Sinmun, Inc. (October 20, 2014).
57
Rodong Sinmun. 2014d. This is why we place importance on actinomycete compost production. Rodong Sinmun, Inc. (December 23, 2014).
58
Rodong Sinmun. 2014e. The spirit of innovation that spreads across socialist cooperative bees. Rodong Sinmun, Inc. (January 5, 2014).
59
Rodong Sinmun. 2014f. Focusing on peat production. Rodong Sinmun, Inc. (January 14, 2014).
60
Rodong Sinmun. 2014g. Specific soil analysis and land improvement battle. Rodong Sinmun, Inc. (January 9, 2014).
61
Rodong Sinmun. 2014h. A strong wind of breakthrough blows on the agricultural front. Rodong Sinmun, Inc. (April 18, 2014).
62
Rodong Sinmun. 2014i. Produce soil fertilizer using sawdust. Rodong Sinmun, Inc. (March 23, 2014).
63
Rodong Sinmun. 2014j. Highlight previous units and actively generalize. Rodong Sinmun, Inc. (March 1, 2014).
64
Rodong Sinmun. 2014k. A method of producing mudbosan fertilizer that is attracting attention. Rodong Sinmun, Inc. (May 29, 2014).
65
Rodong Sinmun. 2014l. Great support for the surveillance project. Rodong Sinmun, Inc. (July 15, 2014).
66
Rodong Sinmun. 2015a. A solar ecological greenhouse that is good in many ways. Rodong Sinmun, Inc. (January 16, 2015).
67
Rodong Sinmun. 2015b. A circular production system brings luck. Rodong Sinmun, Inc. (May 7, 2015).
68
Rodong Sinmun. 2015c. Kim Jong-un's field map of the July 18 cattle ranch under the 580th Military Unit of the Korean People's Army. Rodong Sinmun, Inc. (May 11, 2015).
69
Rodong Sinmun. 2015d. Scientific and intensified greenhouse vegetable farming at a high level. Rodong Sinmun, Inc. (July 5, 2015).
70
Rodong Sinmun. 2015e. At the 3rd work group of Boram-Muncheon-si Yongjeong Cooperative Farm, which established a circular production system. Rodong Sinmun, Inc. (August 5, 2015).
71
Rodong Sinmun. 2015f. In the first five days, about 3 million tons of fertilizer were produced and transported, and about 400,000 tons of fertilizer raw materials were secured. Rodong Sinmun, Inc. (January 9, 2015).
72
Rodong Sinmun. 2016a. The key to high yield in greenhouse vegetable production, a shortcut to a leap forward - a circular production system that produces large yields. Rodong Sinmun, Inc. (January 16, 2016).
73
Rodong Sinmun. 2016b. Grain production exceeded the level of the highest harvest year - Cheonsam Cooperative Farm in Anbyeon-gun. Rodong Sinmun, Inc. (September 28, 2016).
74
Rodong Sinmun. 2016c. Production of substitute fertilizers has increased 1.2 times in rural areas. Rodong Sinmun, Inc. (March 24, 2016).
75
Rodong Sinmun. 2016d. Use of microorganisms in fertilizer production - at Daeseong Vegetable Specialty Cooperative Farm in Sariwon. Rodong Sinmun, Inc. (July 21, 2016).
76
Rodong Sinmun. 2016e. Developed and introduced highly effective microbial fertilizer production technology. Rodong Sinmun, Inc. (August 21, 2016).
77
Rodong Sinmun. 2016f. The 95% mark for production of fertilizer raw materials for Tobosan Mountain has been surpassed - in various rural areas. Rodong Sinmun, Inc. (February 22, 2016).
78
Rodong Sinmun. 2016g. Securing raw materials for mudbosan fertilizer. Rodong Sinmun, Inc. (March 10, 2016).
79
Rodong Sinmun. 2016h. The agricultural front, the main striking front, is boiling - in the rural areas of South Hwanghae Province. Rodong Sinmun, Inc. (February 28, 2016).
80
Rodong Sinmun. 2017a. By introducing a reasonable feeding management method - at Hojung Cooperative Farm in Jeongpyeong-gun. Rodong Sinmun, Inc. (January 9, 2017).
81
Rodong Sinmun. 2017b. Achievements achieved by establishing a circular production system - in the work of workers at Guseong Chicken Factory. Rodong Sinmun, Inc. (November 17, 2017).
82
Rodong Sinmun. 2017c. Annual plan carried out ahead of time - at the Gaeseonguk Complex Microbial Fertilizer Factory. Rodong Sinmun, Inc. (July 25, 2017).
83
Rodong Sinmun. 2017d. A great force in the production of high-efficacy compound fertilizers - Anbyeon-gun. Rodong Sinmun, Inc. (January 7, 2017).
84
Rodong Sinmun. 2019a. Prospects for the creation of orchards - Bukcheong-gun workers and workers. Rodong Sinmun, Inc. (June 22, 2019).
85
Rodong Sinmun. 2019b. Save money for next year's farming expenses. Rodong Sinmun, Inc. (December 21, 2019).
86
Rodong Sinmun. 2019c. Increasing the level of informatization and scientification of pest forecasting - at the Plant Protection Research Institute of the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odong Sinmun, Inc. (August 18, 2019).
87
Rodong Sinmun. 2020a. A ring-shaped production system that produces silver - at Ryongsan Cooperative Farm in Anak-gun. Rodong Sinmun, Inc. (February 19, 2020).
88
Rodong Sinmun. 2020b. By strengthening the pest surveillance project. Rodong Sinmun, Inc. (July 18, 2020).
89
Rodong Sinmun. 2021. The 2021 Socialist Competition Conference in the fruit tree sector is held. Rodong Sinmun, Inc. (February 22, 2021).
90
Ryugyong. 2022. Greenhouse vegetable productivity in rural areas in North Hwanghae Province. Ryugyong (March 24, 2022).
91
Seo, J.Y., J.D. Park, and S.W. Jeong. 2005. (Our party's Songun era) Economic thought commentary. p. 1-343. The Workers' Party of Korea Publishing House, Pyongyang, North Korea.
92
Statistics Korea. 2021. Land area and cultivated area for food crops in North Korea.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ZGA53&conn_path=I3.
93
Teacher Propaganda Notebook. 2017. Soil microorganisms and their uses. Teacher Propaganda Notebook (December 22, 2017).
94
Willer, H. and M. Yussefi. 2006. The world of organic agriculture: Statistics and emerging trends 2006. https://orgprints.org/id/eprint/5161/2/willer-yussefi-2005-world-of-organic.pdf.
95
Yoon, M. 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organic agriculture. North Korean Stud. Rev. 24:207-238.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